오늘의 글/추천 영화

영화 서편제 (Sopyonje, 1993) 줄거리 리뷰 작품설명

판소리를 다룬 영화 서편제는 한국인의 한과 한국 전통음악 국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불러 모은 작품으로 뛰어난 작품성을 가진 비상업용 영화로 흥행에 성공을 한 대표적인 사례였다. 정리해 본다.
임권택 감독 최고의 작품, 한국인의 한을 담은 판소리 영화 서편제
1.개요
원작 이청준/ 감독 임권택/ 제작 이태원/ 각색 김명곤/
출연: 김명곤, 오정해, 김규철, 신새길, 안병경, 강선숙, 최동준, 이인숙, 최종원 외

2.요약 줄거리
1960년 전라남도 보성군의 소릿재. 청년 동호(김규철)는 이복누나 송화(오정해)를 만나기 위해 보성의 소릿재에 있는 소릿재 주막에 묵게 된다. 이 주막의 주인인 세월네는 동호의 요청에 따라 판소리 득음(得音)을 내게 되고 동호는 그 장단에 맞춰 직접 북을 치는데 이때 동호는 잠시 어린시절을 회상하게 된다. 그러고 나서 동호는 세월네로부터 송화가 장님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마을 대갓집에서 소리품을 팔던 유봉(김명곤)은 동호의 어미 금산댁을 만나 자신의 양딸 송화(오정해)와 함께 새 삶을 꾸린다. 금산댁이 아이를 낳다 둘 다 죽자 유봉은 아이들을 데리고 소리품을 판다. 동호에게는 북을 송화에게는 소리를 가르치던 중 동호가 생활고와 유봉 때문에 엄마가 죽었다는 괴로움을 견디지 못해 떠나자 유봉은 송화가 자신을 떠날까 봐 그리고 송화의 소리에 한을 심어주기 위해 그녀의 눈을 멀게 한다. 시력을 잃어가는 송화를 정성스레 간호하는 유봉, 그러나 그는 죄책감으로 죽어가며 송화에게 그 일을 사죄한다.
몇 년 후, 유봉과 송화를 찾아 헤매던 동호는 이름 없는 주막에서 송화를 만난다. 송화에게 판소리를 청하는 동호, 송화는 아버지와 똑같은 북장단을 치는 그가 동호임을 알게 되고 그동안의 한과 그리움을 북과 소리로 달랜다. 그리고 날이 밝자 동호는 제 갈길을 가고, 송화 역시 길잡이 소녀와 함께 길을 떠난다.

3.작품해설
영화가 처음 개봉되었을때는 흥행에서 실패한 줄 알았다. 개봉후 입소문으로 흥행에 성공한 경우로 일반시민은 물론 당시 김영삼 대통령까지 영화를 칭찬해 최초의 100만관객을 달성하게 된다. 임권택 감독은 이전 장군의 아들에 이어 대성공을 거두면서 국민 감독의 반열에 오른다.
현실과 예술에서 오는 비극과 괴리감 등에 한국의 정서 한을 녹아낸 한국의 영화이며 수작이다. 모든 배우들이 열연을 펼쳤지만, 당시 신인배우 오정해가 없었다면 이 영화는 성공하기 힘들었다. 신인 답지 않게 좋은 연기를 펼쳤지만 무엇보다 판소리를 전공한 국악인이었기 직접 판소리를 열창을 펼치면서 영화의 리얼리티를 극대화 시켰고 김명곤 역시 판소리를 배운 배우로서 연기와 판소리를 모두 소화해 내며 작품에 생명을 불어 넣었다.
영화에서 가장 유명한 장면은 유봉과 송화 동화 세 식구가 진도아리랑을 부르며 춤을 추며 걸어가는 시골길 씬이었다. 6분 가량되는 원 컷 씬으로 최고의 명장면으로 꼽힌다. 31회 대종상 작품상을 포함해 많은 상을 수상했다.  

라이브리 (댓글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