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오늘의 글/추천 영화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김태원의 부활은 80년대 후반 백두산, 시나위, H2O 등과 함께 대한민국 최초의 헤비메탈을 대표했고, 이후 락과 팝 등 로맨틱하고 낭만적인 노래들을 많이 발표했다. 한국 역사상 가장 긴 역사를 가진 밴드 부활에 대해 몇가지를 정리해 본다.
결성 30주년 대한민국 대표 락밴드 김태원의 부활 설명
1.부활의 시작
우선 부활이 결성되기전 첫 밴드의 이름은 디 엔드(The End)였다. 김태원과 이태윤이 주죽이 된 밴드로 언더에서 활동을 했고 기타는 김태원 보컬과 베이스는 이태윤이 맡았다. 이후 김태원은 밴드 검은진주의 멤버였던 김종서를 보컬로 받아들이고 그때 밴드의 이름을 부활로 개명한다. 하지만 얼마 안가 김종서가 음악적 견해로 탈퇴한다. (가창력 때문?) 후임 보컬로 김태원과 친분이 있던 이승철이 결정되고, 이승철이 합류하면서 1985년 7월 3일 부활이 공식적으로 결성된다. [*주)이승철이 합류하기 전 부활이 결성된 것이지만, 음반을 낸 것은 이승철이 합류한 이후이므로 이승철이 합류한 시점을 공식적으로 부활의 시작으로 본다.
2. 부활과 시나위의 음악적 차이
고등학교 졸업 후 밴드와 기타 연주로 당시 젊은 락매니아들에게 이름을 알린 김태원은 김도균과 신대철과 더불어 3대 기타리스트로 불리어지게 된다. 부활은 게리 무어 스타일의 음악을 했고, 시나위는 오지 오스본같은 메탈 음악을 했다. 그리고 이들은 강남의 신대철, 강북의 김태원으로 서로 라이벌 구도가 되면서 1985년 신대철의 시나위와, 부활의 김태원이 서로 같은 무대에서 대결을 한 적이 있었다. 부활은 악기의 수준이나 퍼포먼스 등에서 시나위에 큰 패배감을 느끼게 되고 김태원은 기타실력보다는 작곡으로 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음악적 변화를 겪는다. 결국 1986년 부활, 백두산, 시나위가 모두 앨범을 냈는데,, 백두산과 시나위는 메탈음악이었지만 부활은 부드러운 락발라드 성향의 음악을 발표하면서 현재까지도 팝락밴드스런 음악을 추구하고 있다.
3.부활의 첫 보컬 이승철
앨범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부활의 실재 첫 보컬은 김종서였다. 단지 얼마 안되 1986년 탈퇴를 하고 만다. 그리고 김종서는 시나위로 들어가 큰 성공을 하고 이후 솔로로도 대성공을 거둔다. 반면 부활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보컬을 찾던 김태원은 결국 이승철을 영입했는데 이승철의 외모가 락커답지 않게 곱상하다는 이유로 다른 멤버들이 반대가 심했다고 한다. 하지만 김태원은 김수철의 바이브레이션을 좋아했는데 이승철이 그와 비슷한 느낌을 갖고 있다는 이유로 이승철 영입을 강력히 추진했고 이승철을 영입한다. 그리고 발표한 부활의 1986년 데뷔앨범 1집 Rock will Never Die의 수록곡 <희야>, <비와 당신의 이야기>등으로 30만장 이상의 음반판매량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으며 성공적으로 데뷔를 한다. 이후 다음해 2집을 발표하게 된다.
4. 부활의 시련기과 이승철 탈퇴
1987년 2집 역시 큰 성공을 거둘수 있었지만, 문제는 당시 대통령 선거와 맞물리면서 연예인들에 대한 사건들이 터지게 되는데 김태원은 바로 대마초 사건으로 인해 2집 앨범인 많이 팔렸지만 행사와 같은 활동을 하지 못하면서 큰 시련을 겪게 된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 가수나 밴드는 음반 판매 보다는 행사나 공연이 주 수입원이었다. 당시 대마초 사건에 대해 김태원은 "많은 인기를 얻어 자만심 때문에 대마초에 더 빠져들었다"라고 고백했다. 어쨌든 이 사건으로 이승철은 부활을 떠나 솔로로 활동하고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
5. 부활 최고의 보컬 김재기
2집이후 6년동안 부활은 보컬이 공석이었고, 큰 활동도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 1993년 김태원은 김재기를 만나게 된다. 김태원의 초등학교 동창인 목사가 "불광동에 누군가 올 것"을 예견한 다음 날 김재기가 오디션을 보기 위해 부활 녹음실에 들어왔다고 전한다. 김재기는 김태원 앞에서 Nazareth의 Love hurts를 불렀고 김태원은 바로 영입을 하게 된다. 하지만 김재기는 3집 앨범 녹음중 불의의 교통사고로 사망을 한다. 그 전날 연습삼아 단 한 번 불렀던 ‘사랑할수록’을 3집에 수록해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 3집은 100만장 이상이 팔렸다. 김태원은 한 번에 녹음을 끝내는 사람은 김재기와 이소라 밖에 본 적이 없다고 평가를 한다.
이후 박완규가 5대 보컬로 부활에 들어과 1997년 5집 <론리 나이트>가 큰 성공을 거두지만 부활은 또 다시 침체기를 겪게 된다.
6.이승철과의 재회
2001년 몇 년 동안 어려운 시기를 보내던 김태원에게 이승철이 결합 제의가 들어온다. 1987년 부활을 떠난지 14년만만에 재결합한 부활은 2002년 ‘네버 엔딩 스토리’로 다시 부활한다. 상업적으로도 성공했고, 평가도 호평이었고, 그해 김태원은 KBS 가요대상 작사·작곡상을 수상한다.
"이승철을 빼고서는 부활을 이야기 할 수 없다, 부활이 없으면 이승철도 없다" - 김태원
7. 예능인으로 재기한 김태원의 부활
오랫동안 대중들에게 잊혀져가던 부활이 다시 재기를 한 것은 김태원이 KBS 남자의 자격에 출연을 하면서 ‘국민할매’라는 별명을 얻게 되면서이다. 당시 부활의 보컬은 정동하로 김태원을 통해 부활이 10대와 20대 사이들에게 호감을 얻게 되고 정동하의 빼어난 미모와 가창력에 여성팬들이 확연히 늘었다. 그리고, 2010년 시작된 MBC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에 멘토로 출연해 큰 인기를 얻고, 국민 멘토로 사랑을 받게 된다.
8.현재
지금은 정동하가 탈퇴하고 김동명이 10대 보컬로 활동 중이고, 2015.10.17. 불후의명곡 부활 편에 30주년 특집으로 전설로 출연을 했다.
9. 김태원과 부활의 음악
김태원은 "음악에 대한 편견을 버려야 한다. 장르를 분리하고 고집하는 사람들은 덜 깨어있다. 음악에 대한 편견은 인종차별과 같다"고 밝혔다. 부활은 다양한 음악을 추구한다. 밴드는 락만 하는 것이 아니다. 부활이 오랫동안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은 대중친화적이고, 메탈에만 집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김태원의 로맨틱한 감성으로 만들어진 명곡들이 오늘날 부활이 30년간 지속되게 만든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도 부활의 역사는 계속될 것이다.
---------------------------------------------------------------------
[참고]
[참고]
1. 역대 부활 멤버
현재 12기 김동명 (보컬), 김태원 (작사, 작곡, 기타), 서재혁 (베이스), 채제민 (드럼, 퍼커션)
11기 정동하 (보컬), 김태원 (작사, 작곡, 기타), 서재혁 (베이스), 채제민 (드럼, 퍼커션)
10기 김태원 (기타), 정동하 (보컬), 서재혁 (베이스), 엄수한 (건반), 채제민 (드럼, 퍼커션)
9기 김태원 (기타), 정단 (보컬), 서재혁 (베이스), 엄수한 (건반), 채제민 (드럼, 퍼커션)
8기 김태원 (기타), 이승철 (보컬), 서재혁 (베이스), 엄수한 (건반), 김관진 (드럼)
7기 김태원 (기타), 이성욱 (보컬), 서재혁 (베이스), 엄수한 (건반), 김관진 (드럼)
6기 김태원 (기타), 김기연 (보컬), 정준교 (베이스), 최승찬 (건반), 채제민 (드럼, 퍼커션)
5기 김태원 (기타), 박완규 (보컬), 정준교 (베이스), 정동철 (드럼)
4기 김태원 (기타), 김재희 (보컬), 정준교 (베이스), 김성태 (드럼)
3기 김태원 (기타), 김재기 (보컬)
2기 김태원 (기타), 이승철 (보컬), 김병찬 (베이스), 이지웅 (기타), 황태순 (드럼)
1기 김태원 (기타), 김종서 (보컬), 이태윤 (베이스), 이지웅 (기타), 황태순 (드럼)
2. 역대 부활보컬
김종서 - 이승철 - 김재기 - 김재희 - 박완규 - 김기연 - 이성욱 - 정단 - 정동하- 김동명(10대)
3.발표된 정규앨범
1986년 - 1집 Rock Will Never Die
1987년 - 2집 Remember
1993년 - 3집 기억상실
1995년 - 4집 잡념에 관하여
1997년 - 5집 불의 발견
1999년 - 6집 이상(理想) 시선
2000년 - 7집 Color
2002년 - 8집 새, 벽
2003년 - 9집 Over The Rainbow
2005년 - 10집 서정(抒情)
2006년 - 11집 사랑
2009년 - 12집 Part 1 '25th Anniversary: Retrospect'
2010년 - 12집 Part 2 '25th Anniversary: Retrospect II'
2012년 - 13집 Purple Wave
글에 공감하신다면 SNS (트위터, 페이스북)로 널리 널리 알려 주세요. 글의 오타, 하고픈 말, 그리고 동영상 등이 재생이 안되는 등 문제가 발견 되면 본문 하단에 댓글로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라이브리 (댓글 달아주세요~)
주요목록 태그(펼쳐보기)
주요목록 태그(펼쳐보기)
손가락방송 전체 목록 태그 (클릭, 펼쳐 보세요)
손가락방송 전체 목록 태그 (클릭, 펼쳐 보세요)
1940년대 영화4
1950년대 영화4
1960년대 영화6
1970년대 영화9
1980년대 영화21
1990년대 영화31
2000년대 영화56
2010년대 영화121
2015년 영화1
2019년 영화40
2020년 영화10
2021년 영화1
2차세계대전 영화19
고전 영화1
공지사항2
공포 스릴러 영화27
글 칼럼2
넷플릭스 영화6
람보 시리즈5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23
마블 영화36
망작14
맨인블랙4
멜로 영화1
명작13
뮤지컬 영화1
미국 드라마2
범죄 영화8
볼만한 영화124
서평6
송강호1
스티븐 스필버그3
실베스터 스탤론15
아카데미 시상식92
애니메이션7
액션 영화54
어드벤처1
엑스맨 시리즈12
연예가 소식7
영화 록키 시리즈8
영화 미션 임파서블6
영화 터미네이터 시리즈6
유머24
음악이야기3
일상1
저예산 영화3
정우성2
제임스 카메론1
졸작17
좋은 영화13
죽기전에 꼭 봐야할 영화64
중국영화1
지식7
청춘 영화1
코미디 영화9
톰 크루즈8
평작74
한국 영화63
한국 음악인2
DC 영화3
SF영화39
자세히 보기
간략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