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글/추천 영화

여성인권을 위한 세계 여성의 날 유래, 의미 설명

미투(Me Too)운동이 거세지는 이날 3월 8일은 마침 세계 여성의 날( International Women's Day)이다. 여성의 인권과 여성 근로자들을 위한 세계여성의 날에 대해 알아 보자.

1. 세계여성의 날 개요
유엔에서 정한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해 정한 기념일로 1909년 사회주의자들과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정치적 행사로 시작되었고 1975년부터 유엔에 의해 매년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로 공식 지정되었다



(손가락TV와 행복한 시간되세요)
2. 과정
1908년 3월 8일 열악한 작업장에서 화재로 불타 숨진 여성들을 기리며 미국 여성 노동자들이 근로여건 개선과 참정권 보장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인 것을 시작으로 1909년 2월 28일 미국에서 처음으로 '전국 여성의 날'이 선포된다. 이때 여성 노동자들은 “우리에게 빵과 장미를 달라”고 구호를 외쳤는데 여기서 빵은 노동자들의 생존권, 장미는 남성과의 동등한 참정권을 의미한다. 이때부터 빵과 장미가 세계 여성의 날을 상징하게 된 것이다. 이들 미국 여성근로자들의 시위를 알게 된 유럽 여성 근로자들은 다음해인 1910년 8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여성노동자회의에서 독일의 여성운동가 클라라 제트킨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주장하기 위한 '여성의 날'을 제안하고 다음해인 1911년 3월 19일 오스트리아, 덴마크, 독일, 스위스 등에서 참정권, 일할 권리, 차별 철폐 등을 외치는 첫 번째 '세계 여성의 날' 행사가 개최되고 전세계로 확산한다. 특히 1차 세계대전관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남성들의 부족으로 여성 근로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여성의 지위가 상승하게 되고 여성의 인권에 대한 문제의식이 크게 거론된다. 이후 유엔에서 1975년을 ‘세계 여성의 해’로 지정하고 1977년 3월 8일을 특정해 ‘세계 여성의 날’로 공식화하게 된다.

3. 한국의 여성의 날
한국은 1920년 일제 강점기에 나혜석, 김활란 등 자유주의 진영과 허정숙, 정칠성 등 사회주의 진영에서 각각 여성의 날 기념행사를 한 것을 시작으로 해방 이후 한국 전쟁과 이념 대립 그리고 독재시기를 거치면서 형식적인 행사에 그쳤었다. 이후 1985년 제1회 한국여성대회가 개최되면서 여성의 날이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고 1987년 6월 항쟁을 거치면서 민주주의가 향상되면서 여성의 날이 체계를 갖추게 되지만 법정 기념일로 지정되지는 못했다. 그러다 촛불혁명으로 박근혜가 탄핵되고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다음해인 2018년 2월 20일 여성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는 ‘양성평등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면서 3월 8일을 여성의 날 법정기념일로 지정하게 된다.

4. 의미
산업혁명과 자본주의 체제로 많은 노동력을 요구했던 시기에 전쟁 등으로 여성들고 노동 현장에서 일을 하지만 남성들 보다 임금과 노동환경 그리고 성차별을 받으면서 여성근로자들은 큰 고통을 당하게 된다. 여성의 날은 남녀 임금차별의 해소와 낙태금지법 폐지 등 성 평등의 실현과 관련된 현안들을 주창하고 공론화 하게 하는 등 여성 인권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라이브리 (댓글 달아주세요~)